약초 보감
-
감태약초 보감 2016. 7. 30. 00:00
감태 Ecklonia cava 특징 감태는 바다의 산나물이라고 할 정도로 깊은 진한 향이 있다. 김만큼 대중에 많이 알려졌지 않지만, 특유위 향과 맛이 마치 산에 나는 나물처럼 매력이 있어 마니아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감태의 정식 명칭은 가시파래이다. 감태라는 이름은 실뭉치를 만들 듯 돌돌 말아 채취한다고 하여 붙여졌다. 매생이보다는 굵고 파래보다는 가느다란데 선명한 녹색을 띠고 있다. 감태는 양식이 안 되고 자연 그대로의 갯벌에서만 포자가 형성된다. 감태김은 건조할 때 점점 쓴맛은 달아나고 단맛이 올라온다. 하지만 일반 김처럼 구우면 단맛이 다시 사라지고 쓴맛이 올라오니 열을 가하지 말고 그대로 먹는 것이 가장 좋다. 효능 -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해주고 간의 피로를 덜어준다. - 감태에는 아스파라긴이..
-
매생이약초 보감 2016. 7. 29. 00:00
매생이 seaweed fulvescens 특징 매생이는 파래나 감태와도 비슷하게 생겼으나 굵기는 훨씬 가늘다. 매생이라는 이름은 생생한 이끼를 바로 뜯는다는 순수 우리말에서 나온 이름 이다. 그만큼 매생이는 청정한 바다에서만 구할 수 있다. 매생이는 환경에 민감하고 오염물질이 조금이라도 있으면 자라지 않는다. 매생이는 파래나 김과 비슷하게 생겼지만 생으로 무쳐 먹지 않는다. 매생이가 유기산에 매우 약하기 때문인데, 주로 국이나 칼국수, 부침개 등을 만들어 먹는다. 효능 - 매생이에는 칼슘과 철분, 요오드 등 각종 무기염류를 비롯하여 비타민A, C 등이 함유되어 있어 골다공증 예방에 특효가 있다. - 매생이는 산성화되어가는 몸을 약알칼리성으로 개선시키는 강알칼리성 식품이다. - 매생이에는 다양한 비타민이 ..
-
모자반약초 보감 2016. 7. 28. 00:00
모자반 gulfweed 특징 모자반은 지역마다 부르는 이름이 다른데, 몸, 마재기, 모재기 등의 이름을 가지고 있다. 톳과 모양이 비슷하고 뿌리, 줄기, 잎의 구분이 뚜렷하다. 매생ㅇ;버딘,ㄴ 굵거 파래보다는 가늘어 식감이 적당하여 사랑을 받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제주의 전통음식으로만 알고 있으나 일본은 많은 이가 건강음식이라 하며 즐겨 먹고 있다. 제주도에는 모자반을 주재료로 한 몸국이라는 것이 있는데, 여전히 제주에서 쉽게 맛볼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모자반의 양식이 감소해서 진도군 일부에서만 나고 있는 상황이다. 효능 모자반은 피부의 탄력을 유지하는 엘라스틴을 보호하는 효능과 비타민C가 다량 들어 있어 화장품으로 개발되어 있다. 모자반은 항산화작용을 하여 인체 내 산화를 방지하며, 자외선 ..
-
톳약초 보감 2016. 7. 19. 00:00
톳 hijiki 특징 톳은 바다의 불로초라 불릴 만큼 건강에 좋은 영양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갈조류 식물로 조간대 하부에 서식하는 다년생 해조류이다. 톳은 우리나라 주문진과 일본, 대만 등지에서 주로 분포하고 있으며, 칼슘과 철분이 풍부하여 건강식으로 특히 일본인들이 좋아하는 음식이다. 톳으로는 톳밥이나 톳무침, 톳냉국 등 다양하게 요리해 먹는다. 효능 톳에서 무기질, 특히 철분이 다량 들어 있어 빈혈에 효과적이다. 칼슘, 칼륨 등도 풍부하여 혈압을 낮춰주며, 식이섬유가 풍부하여 칼로리가 낮아 다이어트에도 효과가 좋다. 톳은 심혈관 질환을 막아주기도 하며, 노화를 방지해주고 장내 노폐물을 잘 배출시키도록 하므로 변비를 낫게 하는 데에도 좋다. 채취 시기 5~6월 섭취 시 주의 사항 톳은 무기비소가 ..
-
청각약초 보감 2016. 7. 18. 00:00
청각 sea staghorn 특징 청각으 색이 짙은 녹색이면서 생김새가 사슴뿔 모양이라 하여 이름지어졌다. 청각은 파도가 적은 앝은 바닷속 암석이나 조개껍데기 등에 부착하여 산다. 청각은 주로 무쳐먹는데, 청각을 끓는 물에 파랗게 데쳐 헹군 후 된장에 찍어 먹거나 살짝 볶은 청각을 참기름, 설탕, 깨소금 양념에 무쳐 먹기도 한다. 청각은 조금 질긴 편이니 먹을 때 살짝 데쳐야 먹는 식감이 좋다. 효능 청각은 진사황이 불로장생을 위해 먹었던 음식인 만큼 좋은 강정식이다. 청각은 비타민, 무기질이 풍부한 알칼리 식품으로, 칼슘과 인이 많이 들어 있어 자라나는 어린이에게 아주 좋다. 철분도 다량 함유되어 있어 빈혈 예방에도 효과적이다. (동의보감)에는 해열식품으로 많이 쓰고, 담이나 결석을 해소하는 효능이 있..
-
김약초 보감 2016. 7. 16. 12:32
김 purple laver 특징 김은 몇 가지 종류가 있는데, 파래김은 주로 반찬에 사용하는 것으로 고소한 맛이 나며, 편김은 두께가 두꺼워 김방용으로 사용된다. 돌김은 다른 김에 비해 입자가 굵고 거친 느낌이 있으나 맛과 향이 좋아 반찬과 술 안주로 주로 사용된다. 재래김이라 불리는 조선김은 두께가 얇고 청록색을 띤다. 우리나라는 김의 원산지로 오래전부터 채취하여 이용하였는데, (동국여지승람)에 400년 전 전남 광양에서 채취한 기록이 전해진다. 김은 바닷가 암초에 붙어 살며, 길이는 약 20cm 정도이고 너비는 약 10cm 정도의 크기이다. 전 세계에는 약 50종이 분포하는데 우리나라 남해안에는 약 10종이 자라고 있다. 효능 - 김은 혈관 질환을 예방, 개선하는 효능이 있어 고혈압, 고지혈증 등을 ..
-
우뭇가사리약초 보감 2016. 7. 14. 10:34
우뭇가사리 Gelidium 특징 우뭇가사리는 바닷가 암초에서 자라는데, 조류가 잘 오가면서 물이 맑은 곳에 많다. 우뭇가사리의 모양은 잔가지가 많이 달린 나뭇가지 모양이기도 하고, 또는 생김새가 소의 털처럼 쭈삣쭈삣한데 그래서 이름을 우모초(牛毛草)라 하여 부르기도 한다. 우뭇가사리는 한천의 원료로 사용되기도 하는데, 많이 나는 지역은 제주도 지방이며, 식이섬유가 풍부하여 화장품의 원료로도 쓰인다. 우뭇가사리를 식용할 때는 고추장 속에 넣어 두었다가 우뭇장아찌로 먹고, 삶아서 묵으로 해먹기도 한다. 다만 차가운 성질이 있으니 아랫배가 찬 사람이나 대변을 자주 보는 사람, 소화력이 약한 사람은 먹지 않는다. 효능 우뭇가사리는 열을 내려주는 효과가 있어 얼굴에 홍조가 있는 사람에게 효과적이다. 특히 우뭇가사..
-
다시마약초 보감 2016. 7. 14. 00:00
다시마 kelp 특징 다시마는 형태적으로 잎, 뿌리, 줄기로 나누어 있지 않아 몸의 전체에서 바닷속에 들어 있는 영양분을 흡수하여 탄소동화작용을 하며 살아간다. 다시마 겉에는 백분인 만닛트가 있으며, 갈락토스라 하는 당류의 일종인 글루타민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고, 다시마 특유의 맛을 내는 정미성분이 있다. 우리나라는 예전에 북한의 원산 이북에서 주로 양식했는데, 현재는 제주도를 제외한 거의 모든 바다에서 양식 중이다. 효능 다시마에는 알긴산이라는 식이섬유가 들어 있어 콜레스테롤 수치와 혈압을 내려준다. 이 알린산이라는 것은 다시마의 미끈거리는 성분으로, 혈전을 막는 자용도 하여서 고혈압과 동맥경화에도 좋은 효능이 있다. 또, 알긴산은 위장을 자극하여 장운동을 촉진하므로, 변비 해소에 매우 좋다. 다시마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