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에좋은음식
-
팔 다리가 붓는 부종에 좋은 헛개나무 효능 알아보기!약초 보감 2020. 10. 18. 00:06
숙취 해독에 좋은 헛개나무 헛개나무가 간에 좋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무분별하게 채취되고 있다. 헛개나무 열매는 식용, 약용으로 가치가 높다. 잎, 줄기껍질, 잔 가지, 열매를 모두 약초로 쓴다. 약초로 만들 때는 봄에는 잎을, 수시로 잔가지나 줄기껍질을, 가을에 까맣게 익은 열매를 따서 햇볕에 말려서 쓴다. 잎과 열매는 그늘에서 말린 후 끓여 꿀을 타서 차로 먹을 수 있고, 열매는 술을 붓고 밀봉하여 3개월 후에 먹는다. (본초강목)에 `헛개나무가 술독을 푸는 데 으뜸'이라고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숙취 해독에 좋다. 열매는 달고 시며 진액을 만드는 효능이 있어 진액이 부족해서 생기는 갈증과 답답함을 해소하고 오장을 축축하게 하고 열병으로 인한 번열(煩熱)에 쓰며, 단맛이 있어 비장에 좋고, 팔다리가..
-
놀라운 케일 효능 알아보기!약초 보감 2020. 10. 17. 00:02
케일을 빈 속에 먹으면 속이 쓰리므로 주의해야 한다 양배추의 원시적 변종으로 일 년생 초본으로 결구(結球) 하지 않고 긴 타원형인 것과 주름 잡힌 것이 있고 색깔은 녹색 또는 홍자색으로 관상용으로도 쓰인다. 녹즙으로 할 때는 비타민C 손실을 막기 위해 식초나 신맛이 나는 과일을 섞어 산성 조건으로 하면 안전하다. 한 명은 녹엽 감람(綠葉甘藍)이고 2000년 전부터 로마, 그리스 지방에서 자생했다고 하는데 최근 녹즙 재료로 재배하고 있다. 양배추의 야생종이 개량된 것으로 지중해가 원산지로 알려져 있다. 결구(結球)가 되지 않고 오글거리는 잎을 갖는데 키는 작은 것이 30㎝, 큰 것은 120㎝로 이년생 또는 다년생 초본으로 잎을 채소로 이용한다. 양배추처럼 일정한 크기 이하에서 월동하면 저온에 의해 추대 개..
-
칡 효소 - 발암 물질 억제 작용, 간 기능 강화 및 숙취해소효소만들기 2020. 10. 16. 00:03
칡 발효효소 만들기! ① 주재료 채취(칡 800g, 설탕 800g) 칡을 효소를 담글 때는 물에 깨끗이 씻어 준비해 둔다. ② 설탕 준비(설탕 800g, 비율은 1:1) 물기를 없앤 칡의 무게를 측정하고, 같은 중량의 설탕을 준비한다. ③ 담기 칡을 알맞은(3~5㎝) 크기로 잘라서 대야에 설탕 60%와 혼합한 칡을 용기에 담은 뒤 나머지 설탕 40%을 전부 위에 부어 덮어준다. 용기의 80% 정도가 차면 적당하다. 용기 위쪽에 공간을 두는 것은 발효 과정에서 끓어 넘칠 수 있고, 용기의 입구와 재료가 직접 맞닿을 경우 초파리가 쉽게 접근하기 때문이다. ④ 봉하고 이름표 붙이기 나사식 마개가 달린 용기의 경우 힘주어 꽉 닫았다가 다시 살짝만 열러 준다. 이렇게 하면 발효 과정에서 생기는 가스는 밖으로 배출..
-
타우린은 간의 작용 돕고 정력 왕성하게 하는 산낙지약초 보감 2020. 5. 12. 09:02
타우린은 간의 작용 돕고 정력 왕성하게 하는 산 낙지 산 낙지 이야기 세계 보건기구(WHO)의 헌장에 보면 건강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육체적, 정신적 및 사회적으로 완전히 양호한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단순히 질병이나 허약하지 않음을 뜻하는 것이 아니다) 건강이란 한 개인의 심신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널리 사회적으로도 양호한 상태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사람들은 자신과 가족들이 건강을 잘 관리할 수 있는 올바른 지식을 갖고 실천하도록 노력고 하여야 하는 것이다. 목포 지방에서는 여름철에 맥을 못 추는 남자에게 산 낙지(그곳에서는 낙자라고 부른다)를 최고의 스태미나 식품으로 추천하고 있다. 그래서 낙지 한 마리가 인삼 한 근과 맞먹는다는 말까지 생겨났다. 꿈틀대는 낙지발이..
-
간장질환, 담석증 환자에게 효험 있는 바지락약초 보감 2020. 5. 6. 12:59
간장질환, 담석증 환자에게 효험 있는 바지락 스태미너란 운동을 하는데 오랫동안 견딜 수 있는 육체 및 정신의 지구력을 말한다. 스태미너가 없으면 인생을 활기차고 적극적으로 살아갈 수는 없다. 그러한 스태미너식이라면 두 가지 것을 생각할 수 있다. 하나는 광범위한 뜻의 스태미너에 도움이 되는 식사이고 다른 하는 정력을 목적으로 하는 식사이다. 그러나 진짜 스태미너식이라면 이 두 가지 목적을 동시에 달성하는 것이어야 할 것이다. 그러한 식품으로 간을 보하는 바지락조개(가막조개)를 들 수 있다. 바지락조개는 민물이 섞이는 바다의 모래 속에 사는데 잡아내면 조수를 분수처럼 뿜어낸다. 껍질에 윤맥(輪脈)이 많으며 모시조개와 비슷한데 맛이 훨씬 좋다. 산란기가 4~5월이며 그때에는 독성물질을 만드는 수가 있어 식중..
-
부추, 재첩효능 같이 먹으면 좋은음식건강음식 2020. 5. 3. 09:30
부추는 비타민 A의 모체인 베타카로틴이 매우 많아 비타민 A 효력으로 따지면 1800I.U. 나 된다. 이 카로틴은 내열성이 매우 강하기 때문에 비타민 C와는 달리 국을 끓여도 성분의 손실이 적다. 그렇기 때문에 재첩국과 부추는 궁합이 매우 잘 맞는 식품이다. 주요 성분과 효능 재첩은 술꾼들이 재첩국을 마시면 개운해진다고 예부터 인기가 매우 높은 음식이다. 재첩과 바지락의 성분은 거의 같으나 영양소는 재첩이 조금 높다. 성분의 특징은 칼슘, 철, 인, 비타민B1, 비타민B2가 매우 풍부하고 달걀에 못지않을 만큼 품질이 좋은 단백질을 함유한다. 비타민 B2가 육류나 간과 맞먹을 정도로 들어 있다. 재첩의 살에는 영양이 듬뿍 들어 있으므로 재첩국을 먹을 때 국물만 마시지 말고 반드시 살도 남기지 말고 먹는 ..
-
청국장 술 및 담배에 시달린 간을 보호약초 보감 2020. 4. 30. 09:26
열량 많고 비타민 B2 풍부한 청국장 가을철에 들면서 구수한 청국장 끓는 냄새를 맡게 되면 식욕이 떨어졌던 사람이라도 군침이 날 것이다. 청국장은 요즈음 흔한 인스턴트식품의 한 가지로 볼 수 있다. 보통 된장은 몇 달 걸려서 만들어 먹어왔으나 청국장은 배양균을 첨가하면 하루만이면 만들어 먹을 수 있으니 가히 인스턴트식품의 시조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청국장(淸國醬)이란 이름은 중국에서 그 제조법이 전해 내려왔기 때문에 붙은 이름인 것 같다. 청국장은 지방에 따라 별명이 많다. 담북장이라 하기도 하고 통통장이라고도 한다.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는 식물성 식품 중에서 단백질의 함량이 가장 많고 또 질이 졸은 것은 콩이다. 콩은 단백질이 약 40%, 지질이 20%가량 들어 있기 때문에 옛날부터 (밭에서 나는..
-
가시오갈피효능 간.신장에 좋은 음식약초 보감 2020. 4. 20. 13:00
간과 신장에 좋은 가시오갈피 한약명: 오가피(五加皮) 다른 이름: 자오가, 자오가 근 개화시기: 4월(자황 색) 채취시기: 4월(새순), 10월(열매), 수시(가지와 뿌리) 분포지: 전국의 깊은 산이나 밭 약성과 성질: 가시오갈피의 약성은 온(溫)하고 신(辛)하며 독성이 전혀 없다. 효능 가시오갈피는 항암작용이 있어 각종 암에 좋고, 종양세포의 전이를 억제하고, 운동성을 높여주며 기초대사와 저항성을 높여 혈당량을 줄여주기 때문에 당뇨에 좋다. 약물중독 등으로 간 기능이 저하되었을 때 손상된 간을 정상으로 회복시켜 주고, 골격과 근육의 힘을 증강시켜 허리와 무릎의 뼈마디 통증에 좋고, 기혈을 좋게 하기 때문에 통풍에 효과적이며, 항상 피곤하고 정력이 약한 사람이 장복이면 효과를 볼 수 있다. 가시오갈피 설..